-
줄을 놓친 거미여... (詩)창작/시 2011. 5. 12. 12:18
줄을 놓친 거미여... -lumiere- 아직도 끝이 아니겠지요. 끝이기를 바래도 어딘지 모르고 흘러흘러 가다보면 끝이 보일까요. 마음이 쇠하니 잦은 망상과 공허감만이 나를 노리고 어지럽히네요. 머리속에 희미한 거미줄이 걸치적거리지만 슬금슬금 거미는 보이지 않고 어쩌면 내가 거미가 되어있는지도 모르겠어요. 나를 잡아삼키는 것은 세월도 아니고 그들도 아니고 스스로 친 덫에 가둔거죠. 보호하다 안주하고 숨어버리고 어둠과 그늘이 익숙해져버린 가여운 거미는 계산된 변명속에 공포를 견디고 숨죽인 채 그 날을 기다립니다. 눈부신 빛에 타들어가든지 세찬 바람에 날라가든지 툭 떨어져 줄을 놓친 거미는 먼지처럼 흩어지겠지요. -2010/12/28-
-
반짝반짝빛나는,빛과 그림자에 갇힌 작가의 이분법적 사고는 사회를 반영한다.tv/스타 2011. 5. 10. 21:38
만일 정원이가 천사표라면 금란과의 갈등은 있어도 대수롭지않거나 대립까지 될 일은 없다. 대범이가 몇 년 전에 금란이는 항상 반짝반짝 빛났다고 할 정도로 긍정적이고 의지적인 성격에 황금알 자매 중 권양여사가 가장 아끼는 딸이며 서점에서도 10년 간 장기근속할 정도로 성실하고 썩 괜찮은 이미지다. 고난한 삶이 금란을 속일지라도 꿋꿋하게 버텨왔지만 파혼에 아버지 도박 빚에 협박당하고 절망을 느낄 때 기적같은 일이 벌어지고 모든 것을 갖춘 친부모를 찾고 주인집 아가씨가 되며 금란은 자신감도 찾았다. 꿈이 뭐냐고 하면 현모양처라고 대답하는 여자아이들이 있듯이 금란의 꿈은 유복한 집안의 현모양처인데 무엇이 문제일까? 보이는 것이 고시생이고 승재를 잡지않고 대범이를 받아들였다면 좋았을 터, 승재가 미래도 따놓은 당상..
-
마음의 썰물... (詩)창작/시 2011. 5. 10. 19:35
마음의 썰물... -lumiere- 마음은 바다되어 잔잔한 파도처럼 설레이고 황금빛 태양을 띄우듯이 사연실은 배도 띄우고 당신의 마음도 띄웁니다. 수많은 별들을 헤아릴 수 없듯이 상념에 갇혀 흔들리는 고뇌에도 빛이 반사하여 표정을 녹이고 서러운 불꽃도 피어오릅니다. 밀물처럼 들어올 때는 기쁘지만 썰물되어 나가시면 헐벗은 마음은 조각조각 말라붙지요. 태양이 고개숙이면 달이 차오르듯이 간만의 차이일 뿐 천체에 작용하는 인력과 원심력이 조화를 이루듯이 마음도 조화를 이룬다면 이미 권태에 지나지 않습니다. 마음을 줄수록 안달이 나고 마음을 뺏을수록 더 갖고 싶은 마음 내 마음은 내 것이 아니고 당신 마음도 내 것이 아니고.... 도리가 없지요. 자꾸만 마음을 훔치니 마음이 애닯아.... 마음을 도려내어 바다..
-
장국영 자살의 미스터리,비논리적인 대화,이미지tv/스타 2011. 5. 10. 16:52
개그맨 김기수가 지난해 4월 작곡가 지망생으로부터 강제추행당해 고소되었다는 기사를 봤을 때 사실여부는 차치하고 동성애적 성향이라는 것에 그다지 반발심이 없고 매스컴에도 동성애자를 접할 기회가 많아서인지 동성추행 기사도 등장할 법 했다. 김기수가 과연 동성애자일까?, 동성애자는 맞지만 강제추행했을까?,작곡가 지망생 또한 동성애자인 것일까? 지망생이 추행의 주체자이면서 김기수에게 씌운 것은 아닐까? 의문이 스쳐가면서 잊고 있을 때 1년이 지나 추문 혐의는 벗어났다고 하니 '이미지를 먹고 사는 연예인'이라는 약점을 악용하며 기생하는 주변인이 꽤 있나싶다. 김기수가 동성애자는 맞지만 혐의는 없다! or 김기수는 동성애자도 아니고 혐의도 없다! 강제추행 혐의가 벗겨진 것이지 동성애자 혐의가 벗겨진 것은 아니니 결..
-
신기생뎐,깨알같은 재미를 '괴이하다고하는것'도 필요악이다.tv/스타 2011. 5. 9. 01:00
맥락없이 음식 이야기를 쓰는 임성한 작가의 작품에서는 금원장의 어머니 대사처럼 "오늘은 어떤 음식일까"가 궁금해진다. '살기위해 먹는다,먹기위해서 산다'는 처럼 삶에 어떤 행위중 '먹는다'는 것이 가장 기초적이며 잘 먹어야 정서가 안정된다. [데일리팀 박소정]의 맥락없는 문장에서 "어떤 음식일까?" 처럼 궁금해지지는 않지만 드라마를 보고 있으면 풍성한 먹거리로 눈요기하고 요리에 관한 대사로 음식을 연상하면 어쩐지 포만감을 느낀다. 먹고 싶을 때마다 다 먹을 수도 없으니 아이쇼핑으로 대리만족하듯이 드라마속 인물들의 식문화를 통해서 인물들의 갈등과 긴장감으로 쭈삣쭈삣 돌기가 돋다가도 쉼표의 진정 효과가 있다. 이승철의 '마지막 컨서트'에서 희야를 찾을 때 끝을 모르는 고성은 그 클라이막스를 따라 전율이 오면..
-
신기생뎐,임성한작가의 드라마적 장치가 과연 막장일까?tv/스타 2011. 5. 9. 01:00
'손님과는 연애를 하면 안된다'라는 부용각의 규율을 어긴 기생의 멍석말이 장면은 무리한 설정이라는 것이다. 기생이나 단사란 아다모가 손님들 앞에서 고액의 팁받는 장면 또한 너무 노골적이라고 불쾌하단다. 사란은 남친까지 부용각에 끌어들여 연애하는데 공평하지 않다고 기생이 지적하자 화란은 행복을 위해서 결혼한다면 축하할 일이나 손님과의 연애는 금지라고 단호하게 말한다. 50대남과 밖에서 은밀히 여러번 만났다는 것은 연애가 목적이 아니라 거래였다는 암시다. 매를 더 맞더라도 부용각에 남아있기를 원했으니 순수한 연애였다면 추방당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았을 것이다. 부정한 짓에 대해 적나라하게 표현하지 않았지만 부용각의 명의를 이용하여 부수입을 얻고 명예를 실추시켰다고 예측할 수 있다. 기생집이나 요정,룸사롱이나..
-
드라마 소재로서 '출생의 비밀'은 베스트셀러다.tv/스타 2011. 5. 9. 00:00
드라마 소재로서 '출생의 비밀'은 베스트셀러다. 드라마의 소재로 '출생의 비밀'은 마치 대중가요에 사랑과 이별이 들어가지 않으면 가사를 만들 수 없나 할 정도로 불가피한 소재가 되어버렸다. '출생의 비밀'을 자주 차용하는 첫 째 이유는 무엇보다도 드라마속 인물들의 긴장감과 갈등을 유발하기 위한 장치로서 극적 효과를 높여주며 비밀로 엮어놓고 풀어내면서 시청자의 공감대를 형성하기 쉽다는 발상에서 비롯된다. 공감하기 쉽다는 것은 점차 이혼률이 높아지고 전통적인 가족상이 해체되며 분열과 결합을 반복해서 엄마가 둘인 가정이 늘어나니 '출생의 비밀'을 간직한 가정이 실제 많다는 현실을 반영한 결과가 둘 째 이유일 것이다. 계모의 등장은 '콩쥐팥쥐'전부터 있었으니 '출생의 비밀'은 역사나 전설이나 신화를 막론하고 가..